서비스 기획자 (PM)의 업무를 하다 보면, "서비스 기획자를 위한 정보구조도(IA) 설계 실무에는 뭐가 있을까?", "조금 더 효율적이고 잘할 수는 없을까?"와 같은 질문이 떠오르곤 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실무에서의 중요한 포인트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삼성전자에서 일하신 분께 여쭤 본 부분들을 바탕으로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그럼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1) 정보구조도란? 서비스 기획의 뼈대를 세우다
서비스 기획이 어느 정도 완료된 후, 본격적인 애플리케이션 기획 전에 가장 먼저 하는 것이 바로 정보구조 설계(IA)입니다. 정보구조 설계는 앱과 웹서비스의 뼈대로서 서비스 전체의 흐름을 결정하는 정보 구조입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서비스에 맞는 정보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각 서비스마다 사용자에게 필요한 콘텐츠와 이용방식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 정보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2) 효과적인 IA 설계 프로세스: 기획자가 알아야 할 기본 단계
효과적인 정보구조 설계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프로세스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인 IA 설계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서비스가 가진 모든 기능과 정보를 나열하고 분류하기
▸ 정보와 기능을 배치할 위치 결정하기
▸ 각 메뉴의 이름을 명확하게 정하기
▸ 메뉴 간 이동 경로 설계하기
▸ 정보구조 시각화하기 (트리구조, 정보구조 정의서 등)
IA 기초구조는 키포인트 서비스를 중심으로 MVP(Minimum Viable Product)를 상상하며 설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핵심을 놓치지 않고 서비스에 집중할 수 있게 해주며, 이후 로그인, 마이페이지 등 서비스에 필요한 기본 기능을 추가하여 완성할 수 있습니다.
3) 국내 사례 1: 카카오의 허브 앤 스포크 패턴 활용
카카오는 다양한 서비스에서 허브 앤 스포크(Hub & Spoke) 패턴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 구조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 메인 허브인 카카오톡에서 다양한 스포크(카카오페이, 선물하기, 카카오톡 채널 등)로 확장
▸ 사용자가 각 서비스를 이용한 후 다시 메인 허브로 돌아오는 구조
▸ 복잡한 기능을 가진 서비스임에도 사용자가 쉽게 원하는 기능을 찾을 수 있도록 설계
이 구조는 멀티태스킹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하나의 태스크를 수행할 때 효과적인 탐색을 도와줍니다. 사용자가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있을 때 활용하기 좋은 패턴으로, ... 더보기
4) 국내 사례 2: 네이버의 정보구조 혁신과 사용자 중심 설계
네이버는 방대한 양의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구조화하기 위해 계층구조와 매트릭스 구조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접근법을 사용했습니다.
▸ 메인 페이지에서는 뉴스, 쇼핑, 엔터테인먼트 등 주요 카테고리를 탭 패턴으로 제공
▸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는 매트릭스 구조를 활용하여 다양한 필터링 옵션 제공
▸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상단에 배치
네이버는 초기 포털 서비스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추가하면서 정보구조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왔습니다. 특히 모바일 환경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기존 PC 기반 구조를 그대로 옮기지 않고, ... 더보기
5) 해외 사례 1: 애플의 제품 중심 IA 설계 전략
애플은 제품 중심의 명확한 정보구조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합니다.
▸ 제품별 명확한 카테고리 구분 (iPhone, Mac, iPad 등)
▸ 각 제품 카테고리 내에서 일관된 정보 구조 유지
▸ 구매 결정 과정을 돕는 단계별 정보 제공 (제품 소개 → 기능 상세 → 구매 옵션)
▸ 모든 플랫폼(웹, 모바일, 매장)에서 일관된 정보구조 유지
애플의 웹사이트는 트리구조를 기본으로 하지만, 제품 상세 페이지에서는 순차 구조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정보를 탐색하고 구매로 이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특히 ... 더보기
6) 해외 사례 2: 아마존의 매트릭스 구조 활용 사례
아마존은 방대한 제품 카탈로그를 효과적으로 구조화하기 위해 매트릭스 구조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 다양한 기준(카테고리, 브랜드, 가격대, 평점 등)으로 제품 필터링 가능
▸ 사용자의 검색 및 구매 이력을 기반으로 한 개인화된 추천 시스템
▸ 리뷰, Q&A, 관련 제품 등 다양한 정보를 연결하는 복합적 구조
▸ 사용자가 자신만의 탐색 경로를 만들 수 있는 유연한 구조
아마존은 초기 단순한 책 판매 사이트에서 모든 것을 판매하는 플랫폼으로 발전하면서, 정보구조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왔습니다. 특히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 더보기
7) 해외 사례 3: 스포티파이의 사용자 경험 중심 IA 개선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인 스포티파이는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한 정보구조 설계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탭 패턴을 활용한 주요 기능 분류 (홈, 검색, 라이브러리)
▸ 사용자의 청취 패턴에 따른 개인화된 추천 플레이리스트 구성
▸ 다양한 분류 체계(장르, 무드, 상황별)를 통한 음악 탐색 경로 제공
▸ 아티스트, 앨범, 플레이리스트 간의 유기적인 연결 구조
스포티파이는 초기 출시 이후 여러 차례 IA 개편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해왔습니다. 특히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정보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자 테스트와 데이터 분석을 적극 활용했습니다. 또한 ... 더보기
'직무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비스 기획자 (PM)가 하는 일] 성공적인 서비스 기획의 핵심, 페르소나 설정 (1) | 2025.03.31 |
---|---|
[서비스 기획자 (PM)가 하는 일] 서비스 기획자를 위한 논리적 커뮤니케이션 (0) | 2025.03.31 |
[서비스 기획자 (PM)가 하는 일] 서비스 기획의 핵심, PRD 작성 (0) | 2025.03.31 |
[뷰티 브랜드 마케터가 하는 일] 롱테일 키워드 발굴 전략 (0) | 2025.03.28 |
[뷰티 브랜드 마케터가 하는 일] 성분 교육 콘텐츠로 고객 신뢰 구축하기 (1)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