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 브랜드 마케팅의 업무를 하다 보면, "겨울 시즌 외식 트렌드 분석은 어떻게 할까?", "조금 더 효율적이고 잘할 수는 없을까?"와 같은 질문이 떠오르곤 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실무에서의 중요한 포인트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CJ푸드빌에서 일하신 분께 여쭤 본 부분들을 바탕으로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그럼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1) 2025년 겨울 시즌 외식 트렌드: F&B 마케터를 위한 심층 분석
겨울철은 음식의 따스함과 위로가 특히 중요한 시기입니다. 차가운 날씨와 함께 소비자들은 몸과 마음을 따뜻하게 해줄 메뉴를 찾게 됩니다. 2025년 겨울, F&B 업계는 전통적인 겨울 음식의 편안함과 혁신적인 트렌드가 조화를 이루는 흥미로운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겨울 시즌 외식 트렌드와 함께 국내외 성공적인 사례를 살펴보며, F&B 브랜드 마케터들에게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2) 2025년 겨울 시즌 주요 외식 트렌드
1. 컴포트 푸드의 현대적 재해석
겨울철 변함없이 인기 있는 컴포트 푸드는 2025년에도 여전히 강세를 보이지만, 더욱 현대적이고 세련된 형태로 재해석되고 있습니다.
▸ 하트가 담긴 따뜻한 수프와 스튜: 고급 식재료와 혁신적인 플레이팅으로 업그레이드된 수프와 스튜 메뉴
▸ 계절 식재료를 활용한 리조또: 겨울 채소와 트러플 오일 등을 활용한 풍부한 맛의 리조또
▸ 슬로우 쿠킹 브레이즈드 미트: 저온에서 오랜 시간 조리한 부드러운 육류 요리
▸ 겨울 채소 로스팅: 달콤함이 극대화된 계절 채소의 활용
▸ 따뜻한 스파이스 활용: 계피, 카다몸, 진저 등 몸을 따뜻하게 하는 향신료 활용 증가
2. 건강과 지속가능성 강조
2025년 겨울 트렌드에서는 맛과 영양 밸런스를 모두 충족시키는 건강한 옵션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 식물성 겨울 메뉴: 육류를 사용하지 않은 풍부한 맛의 겨울 요리 개발
▸ 로컬 및 제철 식재료 활용: 지역 농장에서 공수한 겨울 채소와 과일 활용
▸ 면역력 증진 슈퍼푸드: 프로바이오틱스,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겨울 메뉴
▸ 스텔스 헬스(Stealth Health): 건강 효능을 눈에 띄지 않게 통합한 맛있는 음식
▸ 친환경 패키징: 지속가능한 포장재를 활용한 포장 서비스
3. 글로벌 겨울 맛의 융합
2025년에는 세계 각국의 겨울 음식 문화가 더욱 활발하게 교류하며 흥미로운 퓨전 요리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 동남아시아 겨울 요리 인기: 태국, 베트남, 필리핀 등의 따뜻한 스프와 국물 요리
▸ 한식 컴포트 푸드의 글로벌화: 김치찌개, 부대찌개, 떡볶이 등의 세계적 인기
▸ 유럽과 아시아의 맛 조합: 이탈리안 파스타와 한국 고추장의 만남 등 혁신적 퓨전
▸ 국가별 겨울 디저트: 다양한 나라의 겨울 디저트를 현지 입맛에 맞게 재해석
▸ 글로벌 스트리트 푸드 2.0: 길거리 음식의 고급화와 겨울 시즌 특화 메뉴
4. 경험 중심의 외식 문화
단순한 식사를 넘어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는 외식 트렌드가 2025년 겨울 시즌에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 테이블사이드 서비스 증가: 고객 앞에서 직접 조리하거나 플레이팅하는 서비스
▸ 시즌 한정 팝업 레스토랑: 겨울 시즌에만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다이닝 공간
▸ 몰입형 다이닝 경험: 겨울 테마의 인테리어와 분위기로 오감을 만족시키는 경험
▸ 셰프와의 인터랙션: 겨울 메뉴의 스토리와 조리법을 셰프가 직접 설명하는 소통형 서비스
▸ 숨겨진 메뉴 경험: 겨울 시즌 한정 '히든 메뉴'로 고객에게 특별한 경험 제공
3) 본죽&비빔밥 - '면역력 강화' 힐링 메뉴 전략
본죽은 겨울철 면역력 강화에 초점을 맞춘 '힐링 시리즈' 메뉴로 건강식 트렌드를 성공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주요 전략 및 메뉴:
▸ 영양 균형 강조: 각종 보양 식재료를 활용한 '해신탕죽', '전복삼계죽' 등 면역력 강화 메뉴 개발
▸ 제철 식재료 활용: 겨울 제철 버섯과 뿌리채소를 활용한 다양한 죽 메뉴 출시
▸ 온라인 마케팅 강화: SNS에서 '#겨울보양식' '#면역력강화' 등의 해시태그를 활용한 타겟 마케팅
▸ 건강 정보 제공: 메뉴별 영양소와 건강 효능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스토리텔링
▸ 배달 서비스 최적화: 보온 유지에 최적화된 포장재 개발로 따뜻한 상태의 제품 배달
본죽의 사례는 겨울철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을 적극 활용하여 시즌 메뉴의 가치를 극대화한 좋은 예입니다. 특히 건강식과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전략으로 바쁜 현대인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 더보기
4) 투썸플레이스 - 시즌 음료와 디저트의 감성 마케팅
투썸플레이스는 감성적인 겨울 시즌 메뉴와 공간 경험을 결합한 마케팅으로 MZ세대를 사로잡고 있습니다.
주요 전략 및 메뉴:
▸ 시즌 스토리텔링: '겨울 숲속의 오두막' 등 테마가 있는 시즌 메뉴 스토리 개발
▸ 인스타그래머블 디자인: SNS에서 공유하고 싶은 비주얼을 갖춘 시즌 음료와 디저트 개발
▸ 향신료 활용 음료: 시나몬, 넛맥 등 겨울철 향신료를 활용한 따뜻한 음료 라인업
▸ 한정판 머천다이징: ... 더보기
5)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 - 프리미엄 겨울 컴포트 푸드 전략
아웃백은 겨울철 프리미엄 컴포트 푸드 콘셉트를 통해 가족 단위 고객층을 타겟으로 한 차별화 전략을 성공적으로 구사하고 있습니다.
주요 전략 및 메뉴:
▸ 시그니처 스테이크 업그레이드: 겨울 시즌 한정 송로버섯, 블랙 트러플 오일 등을 활용한 프리미엄 스테이크 메뉴
▸ 따뜻한 겨울 수프 강화: 양파 수프, 한우 뼈 수프 등 따뜻한 스타터 메뉴 라인업 확대
▸ 가족 공유 메뉴: 가족 단위 고객을 위한 '윈터 패밀리 플래터' 같은 대형 공유 메뉴 개발
▸ 계절 와인 페어링: ... 더보기
6) 스타벅스 - 글로벌과 로컬의 조화로운 시즌 전략
스타벅스는 글로벌 시즌 메뉴와 각 국가별 현지화된 겨울 시즌 메뉴의 균형을 통해 다양한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고 있습니다.
주요 전략 및 메뉴:
▸ 글로벌 시즌 아이콘: '펌킨 스파이스 라떼'처럼 전 세계적으로 인지도 높은 시즌 시그니처 메뉴 운영
▸ 현지화 전략: 한국에서는 '제주 녹차', '유자', '한라봉' 등 현지 특산물을 활용한 겨울 메뉴 개발
▸ 계절별 비주얼 테마: 겨울철 눈, 크리스마스 등 시각적으로 강한 시즌 테마 적용
▸ 아이콘 시스템:... 더보기
7) 링컨 태번(Lincoln Tavern) - 로컬 원재료 중심의 시즌 메뉴 전략
미국 보스턴의 링컨 태번은 지역 식재료를 활용한 정통 겨울 컴포트 푸드로 로컬 식문화를 강조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주요 전략 및 메뉴:
▸ 시그니처 프렌치 어니언 수프: 스팀이 나오는 뜨거운 상태로 서빙되는 풍부한 맛의 양파 수프
▸ 로컬 파머스와의 협업: 지역 농장에서 공수한 겨울 루트 채소를 활용한 메뉴 개발
▸ 클래식 컴포트 푸드 재해석: 전통적인 겨울 요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메뉴 구성
▸ 계절 맥주 컬래버레이션: ... 더보기
8) 킴프턴 호텔(Kimpton Hotels) - 샐러더스 및 보태니컬 음료 혁신
킴프턴 호텔 그룹은 2025년 겨울 시즌에 특화된 샐러더스(Saladders)와 보태니컬 음료 전략으로 건강과 맛의 균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주요 전략 및 메뉴:
▸ 겨울 샐러드 재정의: 케일, 아루굴라와 같은 겨울 채소에 구운 비트, 캔디드 너트, 석류 씨, 감귤류 등을 조합한 따뜻한 겨울 샐러드
▸ 기능성 음료 개발: 어댑토젠과 프로바이오틱스가 함께하는 기능성 음료 라인업
▸ 로우-알코올 및 무알코올 칵테일: 건강에 관심 있는 소비자를 위한 저알코올 옵션 확대
▸ 독특한 차 블렌드: ... 더보기
9) 결론: 2025년 겨울 시즌 F&B 마케팅의 핵심
2025년 겨울 시즌 외식 트렌드는 전통적인 컴포트 푸드의 가치를 유지하면서도 건강, 지속가능성, 글로벌 영향, 그리고 차별화된 경험을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성공적인 F&B 브랜드들은 단순히 맛있는 음식을 넘어 소비자의 감성과 가치관에 공감하는 메뉴와 경험을 제공하며 시장에서 차별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국내 사례에서는 건강과 면역력 강화에 중점을 둔 본죽의 전략, 감성 마케팅에 초점을 맞춘 투썸플레이스의 접근법, 그리고 프리미엄 컴포트 푸드로 가족 고객을 공략한 아웃백의 사례가 주목할 만합니다. 해외에서는 스타벅스의 글로벌-로컬 균형 전략, 링컨 태번의 로컬 식재료 중심 접근법, 킴프턴의 건강 중심 혁신 메뉴가 성공적인 겨울 시즌 전략을 보여줍니다.
F&B 마케터들은 이러한 트렌드와 사례를 참고하여 자사의 브랜드 정체성과 타겟 고객층에 맞는 차별화된 겨울 시즌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가치 있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무엇보다 단순한 계절 메뉴가 아닌, 브랜드 스토리와 가치가 담긴 총체적 경험을 설계하는 것이 2025년 겨울 시즌 F&B 마케팅의 핵심이 될 것입니다.
'직무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F&B 브랜드 마케팅] 캐주얼 다이닝 트렌드 (0) | 2025.03.12 |
---|---|
[F&B 브랜드 마케팅] 패밀리 레스토랑 시장 분석 (1) | 2025.03.12 |
[F&B 브랜드 마케팅] 외식업 경쟁사 분석 방법 (1) | 2025.03.12 |
[F&B 브랜드 마케팅] 식당 소비자 분석 방법 (1) | 2025.03.12 |
[F&B 브랜드 마케팅] 레스토랑 타겟 고객 정의 방법 (0)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