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무 소개

[화장품 제품 개발 기획자가 하는 일] 글로벌 뷰티 트렌드 분석

화장품 제품 개발 기획자의 업무를 하다 보면, "글로벌 뷰티 트렌드 분석에는 뭐가 있을까?", "조금 더 효율적이고 잘할 수는 없을까?"와 같은 질문이 떠오르곤 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실무에서의 중요한 포인트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아모레퍼시픽에서 일하신 분께 여쭤 본 부분들을 바탕으로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그럼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1) 서론: 2025년 글로벌 뷰티 시장의 새로운 흐름

 

2025년 글로벌 뷰티 산업은 혁신적인 기술과 소비자 니즈의 변화에 따라 급속도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K-뷰티의 글로벌 영향력이 더욱 확대되면서 세계 시장 규모는 2025년 약 3,294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2033년까지 5,191억 달러까지 성장할 전망입니다. 특히 K-뷰티 제품 시장은 2025년 112억 달러에서 2035년까지 204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어, 연평균 성장률(CAGR) 6.1%를 기록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시장 변화 속에서 화장품 제품 개발기획 담당자들은 글로벌 트렌드를 정확히 분석하고 이를 제품 개발에 적용하는 능력이 필수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주목해야 할 글로벌 뷰티 트렌드와 국내외 기업들의 성공 사례를 분석하여 실무자들에게 통찰력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2) 소비자 지식 기반 혁신: 똑똑한 뷰티 소비자의 등장

 

현대의 뷰티 소비자들은 과거 어느 때보다 정보에 정통하며, 제품의 성분, 효능, 그리고 제조 과정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민텔(Mintel)의 '2025 글로벌 뷰티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더 이상 어렵게 뷰티 루틴을 실천하지 않고, 지식과 기술을 결합해 스마트하게 개인화된 솔루션을 찾고 있습니다.

3) 올리브영 사례: 데이터 기반 소비자 트렌드 분석

 

 

올리브영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소비자 구매 패턴과 선호도를 정밀하게 파악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인천공항에서 명동까지 셔틀버스 서비스를 도입하여 글로벌 소비자들의 K-뷰티 제품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또한 자체 데이터 분석을 통해 해외 관광객들이 선호하는 제품군을 매장 전면에 배치하고, 다국어 서비스를 강화하여 글로벌 소비자 경험을 최적화했습니다.

▸ 올리브영의 데이터 분석 시스템은 약 1,000만 명 이상의 회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자 선호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추적
▸ 해외 관광객을 위한 
... 더보기

 

4) 부츠(Boots) 사례: 개인화된 소비자 인사이트

 

영국의 대표적인 뷰티 리테일러 부츠는 1,690만 명의 Advantage Card 회원 데이터를 활용하여 2025년 뷰티 트렌드 리포트를 발표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소비자 행동 패턴과 시장 데이터 분석을 결합하여 향후 뷰티 트렌드를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품 개발 방향을 설정하는 데 활용하고 있습니다.

▸ 부츠의 뷰티 트렌드 리포트는 1,800개 이상의 매장과 1,300명 이상의 뷰티 전문가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종합
▸ 'URL to IRL' 트렌드를 통해 디지털에서 ... 더보기

5) K-뷰티에서 K-제조로: 한국 화장품 제조의 글로벌 영향력

 

K-뷰티의 세계적 성공에 이어, 이제는 'K-제조(K-Manufacturing)'가 글로벌 화장품 산업의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화장품 제조사들은 혁신적인 기술력과 빠른 생산 능력으로 글로벌 브랜드들의 주요 생산 기지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TIRTIR 사례: 포용적 뷰티로의 확장
TIRTIR는 기존 3가지 쉐이드에서 30가지 쉐이드로 쿠션 파운데이션의 색상 범위를 대폭 확장했습니다. 이는 다양한 피부톤을 가진 글로벌 소비자들의 니즈에 부응하는 K-뷰티의 진화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입니다. 뷰티 인플루언서 MissDarcei의 리뷰는 3,150만 뷰를 기록하며 글로벌 뷰티 산업에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영향력을 입증했습니다.

▸ 다양한 색상 개발을 위한 글로벌 피부톤 데이터베이스 구축
▸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통한 ... 더보기

6) 지속 가능성과 친환경 제품 개발 전략

 

2025년 뷰티 산업에서 지속 가능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민텔의 'Turning the Tide' 트렌드에 따르면, 기후 변화의 영향이 더욱 뚜렷해지면서 소비자들은 윤리적 가치와 고성능 뷰티 솔루션 간의 원활한 연결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비오댄스(Biodance) 사례: 재생 농업 기반 원료 조달
한국 브랜드 비오댄스는 Bio-Collagen Real Deep Mask를 통해 재생 농업에서 얻은 원료를 활용한 제품을 선보였습니다. 이 제품은 TikTok에서 큰 인기를 얻으며 가격이 비싼 페이셜 트리트먼트 없이도 탱탱하고 빛나는 피부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켰습니다.

▸ 재생 농업 파트너십을 통해 지속 가능한 콜라겐 원료 확보
▸ 생분해성 패키징 도입으로 환경 영향 최소화
▸ 탄소 중립 생산 시설 운영을 통한 친환경 제조 과정 구현

알제니스트(Algenist) 사례: 해양 생물자원 활용
알제니스트는 미세 조류에서 발견된 알구로닉 산(Alguronic Acid)을 특허 성분으로 개발하여 립밤과 콜라겐 세럼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 성분은 지구상에서 가장 혹독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조류의 세포를 보호하고 재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알제니스트 데이터에 따르면 ... 더보기

7) 과학 기반 뷰티: 바이오테크 혁신과 첨단 성분

 

뷰티 산업에서 과학 기술의 활용은 새로운 것이 아니지만, 현재의 바이오테크 트렌드는 뷰티 과학을 완전히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특히 정밀 발효 기술과 수직 농업이 주류가 되면서, 뷰티 브랜드들은 이러한 기술을 도입하여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바이오-합성 성분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바이오드(Biod) 사례: 비오콜 리얼 딥 마스크
바이오드의 비오콜 리얼 딥 마스크는 혁신적인 성분 전달 시스템을 통해 콜라겐을 피부 깊숙이 침투시키는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이 제품은 TikTok에서 바이럴 효과를 얻었으며, 하나의 세럼을 오버나이트 마스크로 전환하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제시했습니다.

▸ 마이크로-니들 기술을 활용하여 활성 성분의 피부 침투력 향상
▸ 과학적으로 검증된 효능을 바탕으로 한 마케팅 전략 구현
▸ 임상 시험을 통해 기존 마스크 대비 2배 높은 콜라겐 전달 효율성 입증

에스투라(Aestura) 사례: 첨단 UV 필터 기술
에스투라는 Derma UV365 Barrier Hydro Mineral Sunscreen을 통해 첨단 UV 필터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아시아 시장에서 인기 있는 UV 필터를 사용하여 효과적인 자외선 차단과 함께 럭셔리한 텍스처와 혁신적인 성분을 결합했습니다.

▸ 피부 장벽 강화와 자외선 차단을 동시에 제공하는 다기능성 성분 개발
▸ 국가별 규제에 맞춘 맞춤형 포뮬레이션 전략 수립
▸ 피부과 전문의와의 협업을 통한 임상적 효능 검증

이블브드 바이 네이처(Evolved By Nature) 사례: 실크 단백질 기술
이블브드 바이 네이처는 바이오테크 연구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분을 스킨케어 제품에 도입하고 있습니다. 특히 실크 단백질을 활용한 혁신적인 기술로 피부 장벽을 강화하는 제품을 개발했습니다.

▸ 실크 단백질의 분자 구조를 재구성하여 ... 더보기

8) 웰니스 뷰티: 건강과 아름다움의 융합

 

웰니스 뷰티 트렌드는 외적인 아름다움과 내적인 건강의 조화를 강조합니다. 2025년에는 CBD 함유 스킨케어와 명상 친화적 뷰티 제품 등 웰니스 뷰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뷰티 브랜드들은 이러한 소비자 니즈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뷰티 오브 조선(Beauty of Joseon) 사례: 전통 성분의 현대적 재해석
뷰티 오브 조선은 Relief Rice Probi SPF를 통해 한국의 전통 성분인 쌀을 현대적 제형에 적용한 사례입니다. 이 제품은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을 유지하면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이중 기능을 제공합니다.

▸ 한국 전통 의학에서 영감을 받은 쌀 발효 추출물 활용
▸ 프로바이오틱스 성분을 통한 피부 장벽 강화 및 진정 효과
▸ 글로벌 소비자를 위한 천연 성분 기반의 K-뷰티 철학 전파

바이오샹스(Biossance) 사례: 클린 뷰티 선도
바이오샹스의 Squalane + Vitamin C Rose Oil은 지속 가능하고 효과적인 보습과 브라이트닝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환경과 피부 건강을 모두 고려한 '클린 뷰티' 철학을 통해 글로벌 소비자들의 지지를 얻고 있습니다.

▸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 더보기

 

9) 다기능성 제품의 성장: 효율성과 미니멀리즘

 

2025년 뷰티 시장에서는 하나의 제품으로 여러 기능을 제공하는 다기능성 제품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립과 볼에 사용하면서 아이섀도우로도 활용 가능한 틴트와 같이 효율성과 미니멀리즘을 추구하는 제품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듀프 문화의 부상 사례
듀프(Dupe)는 'Duplication'의 약자로, 고가 화장품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합리적인 가격대의 대안을 제공하는 제품을 의미합니다. 특히 Z세대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으며, 비용 효율적이면서도 고품질의 뷰티 솔루션을 찾는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 고가 제품의 핵심 성분과 효능을 유지하면서 가격은 30-50% 저렴한 대체 제품 개발
▸ SNS 비교 리뷰를 통한 제품 인지도 향상 전략
▸ 투명한 성분 공개와 효능 비교 데이터 제공으로 소비자 신뢰 구축

하트리프 성분의 부상
하트리프(Heartleaf) 성분은 어성초(Houttuynia cordata) 식물의 잎에서 추출되며, 수세기 동안 동아시아 전통 의학에서 활용되어 왔습니다. 피부 진정 효과가 뛰어나 민감성, 자극받거나 염증이 있는 피부에 적합하며, 플라보노이드와 다당류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피부 장벽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하트리프 추출물을 활용한 다기능성 제품 개발로 스킨케어 단계 간소화
▸ 진정, 보습, 항염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는 올인원 솔루션 제안
▸ 서구 시장에서 K-뷰티 니치 브랜드의 바이럴 성공 요인으로 작용

토너 패드 트렌드
토너 패드는 서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지만, 2025년에는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한국 뷰티 트렌드입니다. 토너가 미리 함침된 패드는 빠르고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며, 한국에서는 미니 시트 마스크로 활용하는 방식이 선호됩니다.

▸ 부츠(Boots)는 2025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