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PE) 해외 인프라 투자팀의 업무를 하다 보면, "해외 인프라 프로젝트 재무모델 작성법에는 뭐가 있을까?", "조금 더 효율적이고 잘할 수는 없을까?"와 같은 질문이 떠오르곤 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실무에서의 중요한 포인트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IMM Investment에서 일하신 분께 여쭤 본 부분들을 바탕으로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그럼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1) 서론: 글로벌 인프라 투자의 중요성과 재무모델링
글로벌 인프라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사모펀드들의 해외 인프라 투자 규모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금융기관과 투자자들은 저금리 시대에 안정적인 수익원으로서 해외 인프라 자산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해외 인프라 프로젝트 재무모델 작성 방법과 실제 투자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겠습니다. 재무모델은 인프라 투자의 핵심 의사결정 도구로서, 프로젝트의 경제성과 수익성을 예측하고 리스크를 관리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2) 인프라 프로젝트 재무모델의 기본 구성요소
인프라 프로젝트 재무모델은 투자 의사결정을 위한 핵심 도구로, 다음과 같은 주요 요소로 구성됩니다.
▸ 투자비 산정: 초기 설비투자비, 운영비, 예비비, Escalation 등을 감안한 총 투자비 산정
▸ 현금흐름 예측: 사업 기간 동안의 수입과 지출을 세부적으로 모델링
▸ 자금조달 구조: Debt-Equity 비율, 금리, 상환 조건 등 설계
▸ 수익성 지표: NPV, IRR, ROE, ROI, 회수기간 분석
▸ 민감도 분석: 주요 변수들의 변동에 따른 수익성 변화 시뮬레이션
특히 해외 프로젝트의 경우 현지 세제(법인세, 부가세), 환율 변동, 정치적 리스크 등 추가 요소들을 고려한 정교한 모델링이 필요합니다.
3) 인프라 투자 유형별 재무모델링 접근법
인프라 투자는 신규 사업(Greenfield)과 기존 사업(Brownfield)으로 구분되며, 각각 다른 재무모델링 접근법이 요구됩니다.
신규 사업(Greenfield) 재무모델링:
▸ 일반적으로 BB등급 이하로 평가되어 자금조달 리스크가 높음
▸ 현금 창출 능력이 없어 초기 단계에서는 정부나 은행, 개발금융공사를 통한 채권 파이낸싱이 주요 자금원
▸ 건설 리스크, 완공 지연 리스크, 초기 운영 리스크 등을 상세히 모델링 필요
기존 사업(Brownfield) 재무모델링:
▸ 이미 운영 중인 자산으로 현금흐름이 안정적
▸ 실제 운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 더보기
4) 한국 사례 1: KIND의 해외 인프라 투자 재무모델링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는 해외 인프라 프로젝트의 전 생애주기에 걸쳐 국내 기업의 해외사업 수주를 지원하는 기관으로, 정교한 재무모델링을 통해 투자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KIND의 재무모델링 특징:
▸ 자금조달 계획 수립 및 재무구조화
▸ 지분 구성 검토 및 모집
▸ 양허계약서, 금융계약서 등 사업계약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재무모델링 및 PIM(Project Information Memorandum) 작성
▸ 금융당사자(MDB, ECA, 상업금융기관 등)와의 협상 지원
KIND는 2023년 말까지 24개 프로젝트에 약 595백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승인했으며, ... 더보기
5) 한국 사례 2: KB자산운용의 해외 인프라 펀드 재무모델링
KB자산운용은 대체투자 부문의 강자로, 특히 해외 인프라 투자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일본 태양광시설(1200억원), 미국 미션솔라(640억원), 멕시코 만사니요 액화천연가스 기화시설(500억원) 등 다양한 해외 인프라 프로젝트에 투자했습니다.
KB자산운용의 재무모델링 접근법:
▸ 기관투자가들의 성향에 맞춰 선순위채권, 후순위채권, 지분투자 등 다양한 수익 모델 설계
▸ 해외 인프라의 높은 기대수익률 활용(선순위대출 4%대, 메자닌 6~7%대, 에쿼티 10% 안팎)
▸ 국내 건설사를 SI(전략적 투자자)로 내세우고 KB자산운용이 FI(재무적 투자자)를 맡는 구조 활용
▸ 운영 단계에서의 위험관리에 중점을 둔 재무모델 설계
KB자산운용의 해외 인프라 펀드 규모는 지속적으로 ... 더보기
6) 해외 사례 1: 일본의 인도 DMIC 사업 재무모델링
일본은 인도의 델리-뭄바이 산업지대(DMIC) 사업에 진출하여 900억 달러 규모의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했습니다. 이 사업은 인도 6개주를 걸치는 델리-뭄바이간 산업철도 1,483km와 24개의 산업·주거 신도시(총 계획인구 3,500만명)를 포함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입니다.
일본의 DMIC 사업 재무모델링 특징:
▸ 시장강화조치(VGF: Viability Gap Funding) 활용한 자금조달 구조
▸ 엔(円) 차관과 민간 투자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재무모델
▸ 일본기업이 투자·운영하는 방식으로 자국 기업 참여 극대화
▸ 스마트시티 설비의 일괄 수주를 통한 안정적 수익 확보
▸ 관련 산업단지에 일본기업 유치를 통한 시너지 창출
일본은 '산업구조비전 2010'을 통해 아시아 시장 공략 전략을 수립하고, ... 더보기
7) 해외 사례 2: 싱가포르의 제안형 도시개발 재무모델링
싱가포르는 중국과의 협력을 통해 제안형 도시수출 전략을 성공적으로 구현한 사례입니다. 싱가포르의 재무모델링 접근법은 자국의 도시 건설 및 경영 노하우를 활용한 가치 창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싱가포르의 재무모델링 특징:
▸ 중국은 토지를 현물출자, 싱가포르는 자본 출자 및 노하우 전수 구조
▸ 중국의 산업-환경-첨단지식으로 나아가는 도시개발 계획 단계에 맞춘 전략적 투자모델
▸ 선진 도시운영시스템 전수 대가로 재원 조달 방안 마련
▸ 국제금융기관(MDB: WB, ADB 등)의 참여를 유도해 정치, 금융 리스크 분산
▸ 국가별 도시개발계획에 맞는 맞춤형 재무구조 설계
싱가포르의 사례는 단순한 자금 투자가 아닌, ... 더보기
8) 재무모델 신뢰도 향상을 위한 핵심 변수 관리
인프라 프로젝트 재무모델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핵심 변수들에 대한 정확한 예측과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특히 태양광 발전과 같은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투자에서는 다음 변수들이 중요합니다.
▸ 가용률(Availability)과 이용률(Capacity Factor): 재무모델의 근본적인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지표
▸ 발전량 과대 평가로 인한 이용률 리스크: 실제 운영 데이터 기반의 정교한 예측 필요
▸ 자산 운영 기간 동안의 성능 저하율: 장기 투자수익에 직접적 영향
▸ 금리, 운영비, 이용률, 물가변동, Tariff, EPC 및 O&M 비용, 보험료, 환율, 할인율, 감가상각 등 모델 기본가정의 적정성
▸ 환율변동과 환전 리스크: 헷지 전략을 재무모델에 반영
최근에는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 더보기
9) 결론: 성공적인 해외 인프라 투자를 위한 재무모델링 전략
성공적인 해외 인프라 투자를 위해서는 정교한 재무모델링과 함께 다음과 같은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 프로젝트 전 생애주기를 고려한 통합적 재무모델 구축
▸ 정부 간(G2G) 협력 및 현지 네트워크를 활용한 리스크 관리 전략 수립
▸ 다양한 자금조달 옵션(MDB, ECA, 상업금융기관 등)을 적극 활용
▸ 국내 건설사(SI)와 금융기관(FI)의 전략적 협업을 통한 시너지 창출
▸ 국가별,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재무모델 설계
해외 인프라 투자는 긴 투자 기간과 복잡한 리스크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정교한 재무모델링이 성패를 좌우합니다. 특히 개발도상국 인프라 시장의 경우, 수익화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사업성과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과 리스크 관리 전략이 재무모델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국내 기업들이 해외 인프라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KIND와 같은 공공기관의 지원과 함께, KB자산운용과 같은 금융기관의 전문성을 활용한 협업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일본, 싱가포르, 인도의 사례에서 보듯이, 단순한 자금 투자가 아닌 전문성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한 가치 창출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장기적인 성공 전략이 될 것입니다.
'직무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기업 상품기획팀이 하는 일] 효과적인 시장 조사 방법 (0) | 2025.04.08 |
---|---|
[대기업 상품기획팀이 하는 일] 고객 인사이트 분석 기법 (0) | 2025.04.08 |
[사모펀드(PE) 해외 인프라 투자팀이 하는 일] 해외 PPP 사업 금융조달 전략 (0) | 2025.04.07 |
[사모펀드(PE) 해외 인프라 투자팀이 하는 일] 인프라 프로젝트 파이낸싱 구조화 방법 (0) | 2025.04.07 |
[사모펀드(PE) 해외 인프라 투자팀이 하는 일] 해외 인프라 투자 환리스크 헤지 전략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