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PE) 해외 인프라 투자팀의 업무를 하다 보면, "해외 인프라 사모펀드 설립 절차에는 뭐가 있을까?", "조금 더 효율적이고 잘할 수는 없을까?"와 같은 질문이 떠오르곤 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실무에서의 중요한 포인트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IMM Investment에서 일하신 분께 여쭤 본 부분들을 바탕으로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그럼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1) 인프라 사모펀드의 세계: 새로운 투자 기회
글로벌 인프라 시장은 노후화된 선진국 인프라의 교체 필요성, 환경 규제 강화, 그리고 인구 증가와 급속한 도시화로 인한 신흥국의 인프라 수요 증가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프라 사모펀드(Private Equity)는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매력적인 투자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해외 인프라 사모펀드 설립 절차와 국내외 기업 사례를 살펴보며 실무적인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2) 인프라 사모펀드의 기본 구조와 특징
인프라 사모펀드는 도로, 항만, 공항, 에너지, 수도 및 폐기물 처리 시설 등의 인프라 자산에 투자하는 전문 펀드입니다. 일반적으로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제공하는 특성을 가지며, 인플레이션 방어 효과가 있습니다. 펀드 구조는 주로 Limited Partnership 형태로, 자금을 제공하는 Limited Partners(LP)와 펀드를 운용하는 General Partner(GP)로 구성됩니다. 투자 대상은 크게 그린필드(신규 개발 프로젝트)와 브라운필드(운영 중인 자산)로 나뉘며, 특히 브라운필드 자산은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기관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높습니다.
▸ 장기 투자 기간: 일반적으로 10-15년
▸ 안정적 수익 구조: 계약에 기반한 현금흐름
▸ 분산 투자 효과: 다양한 지역 및 섹터 투자 가능
▸ 인플레이션 헤지: 요금 인상 메커니즘 내재
3) 해외 인프라 사모펀드 설립 핵심 단계
인프라 사모펀드 설립은 여러 단계를 거치며, 각 단계마다 전문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먼저 펀드 구조를 결정하고, 투자 전략과 목표를 수립해야 합니다. 이후 법적 설립 절차를 거쳐 투자자 모집(fundraising)을 진행합니다.
▸ 투자자 타입 및 위치 분석: 리테일, 전문가, 적격 투자자 등 투자자 프로필에 맞는 구조 설계
▸ 자산 클래스 선정: 투자 대상 인프라 유형 결정(교통, 에너지, 공공시설 등)
▸ 법인 구조 설정: 케이맨 제도, 저지, 룩셈부르크 등 적합한 관할권 선택
▸ 핵심 계약 체결: ... 더보기
4) 인프라 사모펀드 투자 프로세스의 실무적 접근
인프라 사모펀드의 투자 프로세스는 체계적인 단계로 진행됩니다. 딜 소싱부터 자산 관리까지 전 과정에서 전문성이 요구됩니다.
▸ 딜 소싱(Deal Origination): 산업 네트워크와 관계를 활용한 투자 기회 발굴
▸ 예비 스크리닝: 재무 성과, 성장 잠재력, 규제 환경, 경쟁 상황 등 평가
▸ 실사(Due Diligence): 재무, 규제, 세무, 법률, IT, 인적 자원, 상업, 운영 등 종합적 검토
▸ 가치평가 및 구조화: 자산 수익 및 현금흐름, 시장 수요, 규제 환경, 자산 상태 등 고려
▸ 파이낸싱: LP 투자금 활용 및 필요시 부채 조달
▸ 협상 및 문서화: 구매가격, 보증, 대표권 등 법적 구속력 있는 계약 체결
▸ 클로징: ... 더보기
5) 국내 사례 1: 삼성자산운용의 글로벌 인프라 부채 펀드
삼성자산운용은 IFM Investors와 협력하여 4.8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 인프라 부채 펀드를 설립했습니다. 이 펀드는 한국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북미, 유럽, 호주의 프라임 인프라 자산에 투자하며, 주로 A- 이상의 국가 신용등급을 가진 국가들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투자 분야: PPP(민관협력사업), 전력, 재생에너지, 공공시설, 미드스트림 등 5개 주요 섹터
▸ 투자 전략: 정부 보조금과 장기 계약을 통해 투자 위험 최소화
▸ 투자자 구성: 4개 한국 기관투자자가 총 4.8억 달러 출자
▸ 차별점: ... 더보기
6) 국내 사례 2: 미즈호 은행과 마루베니의 MM Capital Partners
마루베니 코퍼레이션, 미즈호 은행, 애셋매니지먼트원(AM-One)은 해외 인프라 자산에 특화된 펀드와 그 운용회사인 MM Capital Partners Corporation(MMCP)을 설립했습니다. 이 펀드는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며, 민간 주도 해외 인프라 자산에 지분 투자를 목적으로 합니다.
▸ 투자 대상: 교통 및 에너지 인프라 섹터 중심
▸ 투자 전략: 안정적 현금흐름을 창출하는 운영 중인 자산(브라운필드) 집중
▸ 지역 포커스: OECD 회원국 내 자산
▸ 목표 규모: 약 500억엔(약 4500억원)
▸ 주주 구성: ... 더보기
7) 해외 사례 1: 맥쿼리 그룹의 글로벌 인프라 펀드
호주의 맥쿼리 그룹은 1990년대부터 과소평가된 공공 자산 인수와 구조조정에 집중해왔으며, 2001년 글로벌 인프라 펀드를 설립하여 미국, 캐나다, 영국 및 EU 지역의 인프라 파이낸싱 기회에 투자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는 '세계 최대 인프라 자산 운용사'로 성장했습니다.
▸ 주요 투자 자산: 시카고 스카이웨이, 버지니아 덜레스 그린웨이 유료도로, 알라바마 폴리 비치 고속도로
▸ 글로벌 포트폴리오: 인도 유료도로($20억 규모), 그리스 최대 공익사업체(PPC) 49% 지분
▸ 투자 전략: 저평가되거나 성과가 저조한 공공 자산 인수 후 구조조정
▸ 시장 접근법: ... 더보기
8) 해외 사례 2: 3i 인프라와 인도 인프라 펀드
영국의 3i 인프라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사모펀드 회사 중 하나로, 아시아 인프라에 특화된 3i 인도 인프라 펀드를 2007년에 출범시켰습니다. 이 펀드는 12억 달러 규모로, 인도 인프라 파이낸스 컴퍼니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탄생했습니다.
▸ 투자 규모: 3i 인프라와 3i 그룹이 각각 2억 5천만 달러씩 출자
▸ 투자자 구성: 유럽, 북미, 아시아, 중동의 10개국에서 총 16개 투자자 참여
▸ 주요 투자 분야: 항만, 공항, 도로, 전력 섹터
▸ 투자 사례: ... 더보기
9) 해외 인프라 사모펀드 설립 및 운용의 핵심 성공 요인
글로벌 인프라 사모펀드 시장은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으며, 성공적인 펀드 설립과 운용을 위해서는 몇 가지 핵심 요소에 주목해야 합니다. 사례들을 통해 본 핵심 성공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명확한 투자 전략: 지역, 섹터, 자산 유형(그린필드/브라운필드)에 대한 구체적 전략 수립
▸ 전문 인력 확보: 인프라 투자 및 운영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팀 구성
▸ 강력한 파트너십: 현지 기업, 정부, 금융기관과의 협력 관계 구축
▸ 리스크 관리: 국가, 정치, 규제, 환율 등 다양한 리스크 요소 관리 시스템 마련
▸ 유연한 투자 구조: 다양한 투자자 요구사항을 수용할 수 있는 펀드 구조 설계
▸ 지속가능성 고려: ESG 요소를 투자 의사결정에 통합
▸ 장기적 접근: 인프라 자산의 장기적 가치 창출 잠재력에 집중
해외 인프라 사모펀드는 안정적인 수익과 포트폴리오 다각화 효과를 제공하는 매력적인 투자 수단으로, 국내 기관들도 글로벌 시장에서 점차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성공적인 펀드 설립과 운용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 그리고 글로벌 네트워크가 핵심입니다.
'직무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모펀드(PE) 해외 인프라 투자팀이 하는 일] 사모펀드 해외 인프라 투자설명서 작성법 (0) | 2025.04.07 |
---|---|
[사모펀드(PE) 해외 인프라 투자팀이 하는 일] PEF GP와 LP 계약 협상 전략 (0) | 2025.04.07 |
[사모펀드(PE) 해외 인프라 투자팀이 하는 일] 사모펀드 인프라 투자 구조 설계 방법 (0) | 2025.04.07 |
[기업 전략팀이 하는 일] 피라미드 구조 문서 작성 기법 (0) | 2025.04.07 |
[기업 전략팀이 하는 일] MECE 프레임워크 실무 활용법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