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무 소개

[광고대행사 디지털 AE가 하는 일] 대량 키워드 단시간에 정리하는 방법

광고대행사 디지털 AE의 업무를 하다 보면, "대량 키워드 단시간에 정리하는 방법에는 뭐가 있을까?", "조금 더 효율적이고 잘할 수는 없을까?"와 같은 질문이 떠오르곤 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실무에서의 중요한 포인트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HSAD에서 일하신 분께 여쭤 본 부분들을 바탕으로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그럼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1) 서론: 디지털 AE에게 키워드 관리가 중요한 이유

 

디지털 광고 업계에서 AE(Account Executive)로 일하다 보면 수많은 키워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상황을 자주 마주하게 됩니다. 특히 검색광고를 집행할 때 수만 개의 키워드를 단시간에 정리하고 최적화해야 하는 경우가 많죠. 이번 글에서는 디지털 마케팅 AE가 대량의 키워드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 실제 국내외 성공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2) 키워드 대량 관리의 중요성

 

검색광고에서 키워드는 단순한 단어 이상의 가치를 지닙니다. 특히 검색광고 시장이 포화상태인 현재, 클릭당 비용(CPC)을 줄이고 효율적인 광고 집행을 위해서는 다량의 세부 및 연관 키워드 관리가 필수입니다.

▸ 핵심 키워드만으로는 비용 효율성이 떨어짐
▸ 대량의 연관 키워드로 광고 노출 기회 확대
▸ 경쟁이 적은 롱테일 키워드로 CPC 절감 효과
▸ 키워드 분석을 통한 소비자 인사이트 획득

3) 키워드 대량 정리를 위한 필수 도구

 

 

효율적인 키워드 관리를 위해서는 적절한 도구 활용이 필수적입니다. 여러 도구를 활용하여 키워드 수집부터 분석, 정리까지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 키워드 조합기: 기본 키워드에서 파생되는 수만 개의 연관 키워드 생성
▸ 키워드사운드: 한 번에 최대 100개 키워드까지 검색 데이터 분석 가능
▸ 엑셀 매크로: 대량 키워드 정리 및 분류 자동화
▸ SEMrush, Ahrefs: 
... 더보기

 

4) 수만 개 키워드 단시간 정리 프로세스

 

대량 키워드를 효율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단계별 프로세스를 살펴보겠습니다.

▸ 1단계: 핵심 키워드 정의 (업종/상품별 대표 키워드 30-50개 선정)
▸ 2단계: 키워드 조합기를 활용한 확장 키워드 생성 (5만개 이상)
▸ 3단계: 엑셀을 활용한 키워드 분류 (상품군, 니즈, 검색의도별)
▸ 4단계: 검색량 및 경쟁도 데이터 수집 (키워드 분석 도구 활용)
▸ 5단계: 광고 플랫폼별 ... 더보기

5) 국내 사례 1: 카카오 검색광고 대행사의 5만 키워드 전략

 

카카오 검색광고에서는 계정당 최대 10만 개의 키워드를 등록할 수 있지만,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최소 5만 개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키워드 조합기를 활용해 관련 키워드 대량 추출
▸ 광고그룹 ID당 키워드 1,000개까지 등록 가능
▸ 5만 개 키워드 등록 시 50개 그룹 사전 생성 필요
▸ 대량관리 > 업로드 > 키워드 > 템플릿다운로드 기능 활용
▸ 경쟁업체가 사용하지 않는 틈새 키워드로 CPC 절감 효과

실제 카카오 검색광고 대행사는 키워드 추출 리스트를 엑셀 파일로 정리하여 관리하며, ... 더보기

6) 국내 사례 2: 대성인더스와 리플러스의 키워드 확장 전략

 

엠피인터렉티브가 대행한 대성인더스와 리플러스(세탁/청소, 세제 등 생활용품 브랜드)는 카테고리 내 경쟁이 치열해지고 주요 키워드의 클릭 비용이 상승하자 새로운 키워드 전략을 도입했습니다.

▸ 제품군 기본 키워드 외에 용도, 쓰임새 관련 탐색 의도 키워드 확장
▸ 확장 키워드에 맞는 연관도 높은 소재 개발
▸ 스마트블록의 '인기 주제'를 참고해 콘텐츠 핵심 내용 구성
▸ 자연스러운 제품 홍보를 위한 랜딩페이지 최적화

이 전략을 통해 두 브랜드 모두 광고비는 증가했지만, ... 더보기

7) 해외 사례 1: 유니레버의 현지화 키워드 전략

 

글로벌 소비재 기업 유니레버는 다양한 국가에서 효과적인 디지털 마케팅을 위해 현지화된 키워드 전략을 사용합니다.

▸ 국가별 소비자 문화와 언어 뉘앙스를 고려한 키워드 선정
▸ 현지 업계 용어와 일상 표현을 반영한 키워드 확장
▸ 국가별 전담 팀이 수집한 현지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구축
▸ SEMrush, Ahrefs 등 다국어 키워드 리서치 도구 활용
▸ 국가별 키워드 성과 대시보드로 실시간 모니터링

유니레버는 이 전략을 통해 한 국가에서 성공한 키워드 그룹을 다른 국가에 맞게 ... 더보기

8) 해외 사례 2: 아마존의 롱테일 키워드 최적화

 

전자상거래 거인 아마존은 방대한 제품 카탈로그에 맞는 롱테일 키워드 전략으로 검색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 제품별 최대 500개의 롱테일 키워드 타겟팅
▸ 구매 의도가 높은 구체적 검색어 중심의 키워드 확장
▸ 검색 쿼리 데이터를 활용한 분기별 키워드 재정리
▸ 카테고리별 자동화된 키워드 추출 및 분류 시스템 구축
▸ 시즌별 트렌드에 맞춘 키워드 그룹 활성화/비활성화

아마존은 이 전략을 통해 비교적 경쟁이 적은 롱테일 키워드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하여 ... 더보기

9) 결론: 효율적인 키워드 관리의 실행 방안

 

대량 키워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디지털 마케팅 AE의 핵심 역량입니다. 위에서 살펴본 국내외 사례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실행 방안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 기본 키워드에서 확장하여 최소 3만~5만 개 이상의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구축
▸ 키워드 조합기, 엑셀 매크로 등 자동화 도구를 적극 활용
▸ 검색 의도별 키워드 그룹화로 관련성 높은 광고 소재 개발
▸ 핵심 키워드뿐만 아니라 롱테일, 틈새 키워드에도 집중
▸ 정기적인 키워드 성과 분석을 통한 지속적인 최적화
▸ 국가별, 시즌별 특성을 반영한 키워드 전략 수립

대량 키워드 관리는 단순한 양적 확장이 아닌 질적 최적화가 동반되어야 합니다. 효율적인 키워드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광고 효율을 극대화하고, 궁극적으로는 클라이언트의 비즈니스 성장에 기여하는 전략적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