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무 소개

[대기업 상품기획팀이 하는 일] 대기업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대기업 상품기획팀의 업무를 하다 보면, "대기업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에는 뭐가 있을까?", "조금 더 효율적이고 잘할 수는 없을까?"와 같은 질문이 떠오르곤 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실무에서의 중요한 포인트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LG 계열사에서 일하신 분께 여쭤 본 부분들을 바탕으로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그럼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1) 신제품 개발, 기업 성장의 핵심 동력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는 기업이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성장을 지속하기 위한 핵심 요소입니다. 전통적인 기업부터 첨단 테크 기업까지, 모든 대기업은 체계적인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국내외 대표 기업들의 신제품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각 단계별 프로세스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특히 삼성전자, LG전자, CJ와 같은 국내 기업과 애플, 구글, GE와 같은 해외 기업의 사례를 통해 실무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하겠습니다.

2)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의 기본 구조

 

일반적인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는 6단계로 구성됩니다. 이 프로세스는 초기 아이디어 도출부터 최종 시장 출시까지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 1단계: 아이디어 도출(Ideation)
▸ 2단계: 제품 정의(Product Definition)
▸ 3단계: 프로토타입 제작(Prototyping)
▸ 4단계: 상세 디자인(Detailed Design)
▸ 5단계: 검증 및 테스트(Validation/Testing)
▸ 6단계: 상용화(Commercialization)

이 구조는 대부분의 기업에서 기본 프레임워크로 활용하며, 각 기업의 특성과 산업에 맞게 조정하여 사용합니다. 현대 기업들은 이 프로세스를 통해 작업을 세분화하고 부서 간 협업을 체계화하여 신제품 개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3) 아이디어 도출 단계: 삼성전자와 구글의 접근법

 

신제품 개발의 첫 단계인 아이디어 도출 단계에서는 고객의 필요, 가격, 시장 조사를 토대로 제품의 콘셉트를 브레인스토밍합니다.

삼성전자의 사례:
삼성전자는 디바이스 경험(DX) 조직을 통해 AI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독특한 아이디어 도출 방식을 활용합니다. 삼성전자의 빅스비와 같은 AI 비서 개발 과정에서는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한 아이디어 도출이 이루어집니다. 사용자들이 스마트폰에서 "네이버 지도 켜줘"나 "엄마에게 전화 걸어줘" 같은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자의 일상적인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기술적으로 구현할 방법을 모색합니다.

구글의 사례:
구글은 "10x 사고방식"이라는 독특한 아이디어 도출 방법론을 사용합니다. 구글은 제품이 단순히 10% 개선되는 것이 아니라 10배 더 좋아지는 방향으로 혁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믿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 더보기

 

4) 제품 정의 단계: LG전자의 고객 중심 전략

 

제품 정의 단계에서는 도출된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제품의 특성, 기능, 목표 시장 등을 명확히 정의합니다.

LG전자의 사례:
LG전자는 제품 정의 단계에서 '고객 목소리'를 핵심 요소로 활용합니다. LG전자는 고객 경험을 높이기 위해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만든다'는 본질에서 시작합니다. LG전자의 스타일러는 이러한 접근 방식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2011년 출시된 스타일러는 의류 관리 가전 시장의 선두주자로 자리 잡았으며, 이후 여러 업체가 비슷한 제품을 출시하며 시장 및 카테고리 선구자 역할을 했습니다.

LG전자는 이 외에도 다양한 혁신 제품을 통해 고객 중심 전략을 입증했습니다:
▸ 홈브루: 수제 맥주 맛을 집에서 즐길 수 있는 제품
▸ 틔운 및 틔운미니: 가정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솔루션
▸ 슈케이스: 신발을 최적의 방법으로 전시·보관할 수 있는 제품
▸ 퓨리케어 에어로퍼니처: ... 더보기

5) 프로토타입 개발 단계: CJ의 NPI 활용 사례

 

프로토타입 개발 단계에서는 제품의 초기 모델을 제작하여 핵심 기능과 디자인 요소를 검증합니다.

CJ의 사례:
CJ는 GE의 신제품개발방법인 NPI(New Product Introduction)를 벤치마킹하여 자체적인 NPI(New Product Innovation) 프로세스를 개발했습니다. CJ의 NPI 프로세스에서 프로토타입 개발은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CJ의 프로토타입 개발 단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다기능팀(CFT: Cross Functional Team)을 활용한 협업 중심의 개발
▸ 마케팅부서 브랜드매니저가, 프로젝트를 총괄하여 진두지휘
▸ 리서치센터의 소비자조사를 통한 개발과정 및 결과 검증
▸ 생산 부서가 초기 단계부터 참여하여 공정상 문제점 및 소비자 불만 현황 제시

특히 CJ는 CTQ(Critical To Quality) 확인 단계를 통해 ... 더보기

6) 상세 디자인 단계: 애플의 혁신적 접근법

 

상세 디자인 단계에서는 프로토타입을 기반으로 제품의 모든 측면을 구체적으로 설계합니다.

애플의 사례:
애플의 Vision Pro AR 헤드셋 개발은 상세 디자인 단계의 우수 사례입니다. 애플은 Vision Pro의 상세 디자인 과정에서 세 가지 주요 영역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 기술적 우수성: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첨단 센서 등 최고의 기술을 적용
▸ 사용자 경험: 애플 생태계와의 원활한 통합을 통한 직관적 사용자 경험 설계
▸ 제품 차별화: 경쟁 제품과 차별화된 디자인 요소와 기능 개발

애플은 상세 디자인 단계에서 AR 개발자와 콘텐츠 제작자들과의 협업을 중요시하여 디바이스 성능과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Vision Pro가 기존 AR 시장에서 차별화된 위치를 확보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또한 애플은 과거 제품 개발 과정에서도 ... 더보기

7) 검증 및 테스트 단계: 국내외 기업의 품질 관리 전략

 

검증 및 테스트 단계에서는 개발된 제품이 설계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고, 사용자 요구를 만족시키는지 검증합니다.

CJ의 게이트(Gate) 시스템:
CJ는 NPI 프로세스에서 각 개발 단계별로 결과물을 평가하는 게이트(Gate)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각 게이트는 의사결정 포인트(Decision Point)로 작용하여 과정 관리를 철저히 할 수 있게 합니다. 각 단계별로 스코어 카드(Score Card) 제도를 통해 상품의 히트율을 극대화하는 데 활용합니다.

CJ의 게이트 제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개발 단계별 소비자조사를 통한 평가
▸ 개발 단계 통과 기준선(허들포인트) 설정
▸ 기준 미달 시 시장 출시 불가 원칙 적용

구글의 "Launch and Iterate" 전략:
구글은 "출시하고 개선하기(Launch and iterate)" 전략을 활용합니다. 구글은 많은 제품의 초기 버전을 가능한 한 빨리 베타 버전으로 출시합니다. 각 출시 후 사용자의 피드백을 주의 깊게 경청하고, ... 더보기

8) 상용화 및 출시 단계: 성공적인 시장 진입 사례

 

상용화 단계는 제품을 대량 생산하고 시장에 출시하는 과정으로, 마케팅, 유통, 판매 전략이 중요합니다.

애플의 Vision Pro 출시 전략:
애플은 Vision Pro AR 헤드셋 출시를 위해 종합적이고 철저한 시장 조사를 수행했습니다. 이는 소비자 요구사항과 잠재적 장벽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활동을 포함했습니다:
▸ 시장 규모 및 성장률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
▸ 엔터테인먼트 및 전문 응용 분야에서의 AR에 대한 관심 증가 파악
▸ 가격과 사용성에 대한 소비자 우려 식별

애플은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Vision Pro의 출시 전략을 수립했으며, 각 제품은 "Rules of the Road"라고 불리는 엄격한 비밀을 유지하는 제품 출시 계획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 계획에는 최종 제품의 상용화와 출시에 필요한 모든 요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 시리즈 출시 전략:
삼성전자의 갤럭시 Z 폴드6와 갤럭시 Z 플립6 출시는 성공적인 상용화 사례입니다. 이러한 폴더블 제품은 인공지능(AI)과 혁신적인 폼팩터를 통해 글로벌 소비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았습니다. 그 결과 전작 대비 40% 증가한 사전 판매량을 기록했으며, 특히 인도 시장에서 높은 판매량을 보였습니다.

또한 삼성전자의 새로운 웨어러블 기기인 ... 더보기

9) 다기능팀(CFT) 운영을 통한 부서간 협업 전략

 

신제품 개발은 여러 부서의 협업이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성공적인 제품 개발을 위해서는 다기능팀(CFT: Cross Functional Team)의 효과적인 운영이 중요합니다.

CJ의 다기능팀 운영 사례:
CJ는 NPI 프로세스에서 다기능팀을 통한 마케팅 활동을 강화했습니다. 마케팅부서 브랜드매니저가 프로젝트를 총괄하며, 리서치센터에서는 소비자조사를 통해 개발과정 및 결과를 검증합니다. 생산 부서도 초기 상품기획단계부터 참가하여 기존 및 유사 제품의 공정상 문제점과 소비자 불만 현황을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과 공정이 긴밀하게 연계됩니다.

CJ의 다기능팀 운영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마케팅 부서 주도의 프로젝트 관리
▸ 리서치센터의 지속적인 소비자 조사 지원
▸ 생산 부서의 초기 단계부터 참여
▸ 철저한 시장 분석을 통한 고객 및 기술 분석 선행

GE의 다기능팀 운영 사례:
GE의 NPI 프로세스는 다기능팀 운영의 모범 사례입니다. GE는 세계 초우량기업 60여 곳을 벤치마킹하여 개발한 NPI를 10년 간의 실행을 통해 개발혁신 프로세스로 발전시켰습니다.

GE의 NPI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업의 강점을 집대성했습니다:
▸ 모토롤라의 적기 출시(Time To Market)와 규격명확화(Spec Freeze)
▸ 제록스(XEROX)의 재활용(Re-use)
▸ HP, Intel, Sony의 다세대프로젝트계획(MGPP)
▸ Hitachi의 조립을 위한 설계(Design For Assembly)

GE는 NPI 프로세스에서 개발 프로세스를 10단계로 구분하고,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