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소개

[F&B 브랜드 마케팅] 레스토랑 타겟 고객 정의 방법

프라임 커리어 2025. 3. 12. 09:23

F&B 브랜드 마케팅의 업무를 하다 보면, " 레스토랑 타겟 고객 정의는 어떻게 할까?", "조금 더 효율적이고 잘할 수는 없을까?"와 같은 질문이 떠오르곤 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실무에서의 중요한 포인트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CJ푸드빌에서 일하신 분께 여쭤 본 부분들을 바탕으로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그럼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1) F&B 브랜드 마케터를 위한 레스토랑 타겟 고객 정의 전략 가이드

 

오늘날 경쟁이 치열한 외식업계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레스토랑이 누구를 위한 공간인지 명확히 정의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타겟 고객을 정확히 정의하면 메뉴 개발부터 인테리어, 마케팅 전략, 가격 정책까지 모든 비즈니스 결정의 기준이 명확해집니다. 이 글에서는 F&B 브랜드 마케터가 레스토랑의 타겟 고객을 효과적으로 정의하는 방법과 국내외 성공 사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2) 레스토랑 타겟 고객 정의의 핵심 요소

 

성공적인 레스토랑 타겟 고객 정의를 위해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인구통계학적 요소(Demographics): 연령, 성별, 소득 수준, 직업, 거주 지역, 종교, 교육 수준 등
▸ 심리적 요소(Psychographics): 라이프스타일, 가치관, 취향, 음식 선호도, 소비 성향 등
▸ 행동 패턴(Behavior): 외식 빈도, 평균 소비 금액, 방문 시간대, 메뉴 선택 패턴, 디지털 활동 등
▸ 지리적 요소(Geographic): 상권 특성, 주변 환경, 접근성, 거주자/방문자 특성 등

 

3) 미스터피자의 여성 타겟 리포지셔닝 전략

 

미스터피자는 고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고객이 80~90%를 차지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핵심 경쟁력으로 활용한 리포지셔닝 전략을 펼쳤습니다.

주요 타겟 정의 및 전략:
▸ 데이터 기반 타겟 발견: 고객군 분석을 통해 여성 고객의 압도적 비율 확인
▸ 제품 차별화: 기름기 없는 수타 피자로 건강을 중시하는 여성 고객 취향 반영
▸ 브랜드 아이덴티티 재정립: '여자 피자'라는 명확한 포지셔닝으로 타겟 고객에게 직접적 어필
▸ 마케팅 메시지 집중:  
... 더보기

 

5) 봄보(봄날의 보리밥)의 타겟 미스매치 교훈

 

봄보(봄날의 보리밥)는 타겟 고객 설정과 실제 방문 고객 사이의 불일치로 인한 교훈적인 사례를 보여줍니다.

주요 타겟 정의 및 전략:
▸ 초기 타겟 설정: 2005년 론칭 당시 20~30대 여성 고객을 주요 타겟으로 설정
▸ 실제 고객층 분석: 운영 결과 중장년층 남성 고객이 60% 이상을 차지하는 타겟 미스매치 발생
▸ 브랜드명의 영향: '보리밥'이라는 메뉴명을 브랜드로 사용하여 젊은 여성보다 중장년층에게 어필
▸ 리포지셔닝 교훈: ... 더보기

6) 교촌필방의 세그먼트 확장 전략

 

교촌치킨은 시장 포화 상태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교촌필방'이라는 스피크이지(Speakeasy) 스타일의 치맥 바를 오픈하여 기존 고객층을 넘어선 타겟 확장 전략을 보여줍니다.

주요 타겟 정의 및 전략:
▸ 기존 타겟 분석: 교촌치킨의 충성 고객층인 3040세대를 넘어선 확장 필요성 인식
▸ 새로운 타겟 정의: MZ세대와 외국인 관광객을 새로운 타겟으로 설정
▸ 차별화된 공간 경험: 숨겨진 입구를 가진 스피크이지 바 형태로 호기심과 독특한 경험 제공
▸ 메뉴 특화: ... 더보기

 

7) 셰이크쉑(Shake Shack)의 집중형 타겟팅 전략

 

셰이크쉑은 '현대적인 로드사이드 버거 스탠드'라는 명확한 콘셉트로 특정 타겟 고객층에 집중하는 전략으로 성공한 사례입니다.

주요 타겟 정의 및 전략:
▸ 핵심 타겟 집중: 고품질 재료와 친환경적 가치를 중시하는 현대적인 소비자로 타겟 명확화
▸ 가치 중심 정의: 단순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보다 소비자의 가치관과 식품 품질에 대한 인식 중심으로 타겟 정의
▸ 간소화된 메뉴: 타겟 고객의 선호도에 집중한 제한된 메뉴 구성으로 전문성 강화
▸ 프리미엄 포지셔닝: ... 더보기

8) 영국의 '패스트-굿(Fast-Good)' 콘셉트 타겟팅

 

영국에서 시작된 '패스트-굿' 콘셉트는 건강과 지속가능성을 중시하면서도 빠른 서비스를 원하는 새로운 소비자 타겟을 정의하고 성공한 사례입니다.

주요 타겟 정의 및 전략:
▸ 가치 변화 분석: 영국 소비자 중 유기농 옵션에 관심 있는 비율이 10년 전 45%에서 70% 이상으로 증가한 트렌드 포착
▸ 타겟 니즈 교차점: 건강한 음식과 빠른 서비스라는 두 가지 소비자 니즈의 교차점 발견
▸ 그린 버거(Green Burger): 2015년 런던에서 시작해 유기농, 지속가능한 재료로 만든 버거 제공
▸ 가치 중심 타겟팅: ... 더보기

9) 최현석 셰프의 데이터 기반 고객 타겟팅 전략

 

유명 셰프 최현석은 F&B 사업이 단순히 '맛있는 요리'를 넘어 철저한 데이터 분석과 고객 타겟팅이 중요함을 강조합니다.

주요 타겟 정의 및 전략:
▸ 상권 분석 중심: "F&B 사업은 사람들이 지불할 수 있는 가격대에서 구매력을 분석해야 한다"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하고 싶은 요리나 컨셉보다 타겟 소비자의 구매력과 시장 특성을 우선 분석
▸ STP 전략 구현: 고객 세분화, 타겟팅, 포지셔닝의 완벽한 실행을 통한 성공 모델 구축
▸ 창의성과 현실성 균형: ... 더보기

 

10) 결론: 성공적인 레스토랑 타겟 고객 정의의 핵심

 

오늘날 치열한 F&B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타겟 고객 정의가 출발점입니다. 국내외 성공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단순한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넘어 소비자의 가치관, 라이프스타일, 행동 패턴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깊이 있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미스터피자의 여성 타겟 집중 전략, 봄보의 타겟 미스매치 교훈, 교촌필방의 세그먼트 확장, 맥도날드의 문화적 타겟팅, 셰이크쉑의 가치 중심 타겟팅, 그리고 '패스트-굿' 콘셉트의 새로운 타겟 정의는 각기 다른 접근법을 보여주지만, 모두 깊이 있는 고객 이해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F&B 브랜드 마케터는 이러한 사례를 참고하여 자사의 레스토랑에 맞는 타겟 고객을 명확히 정의하고, 그들의 니즈와 선호도에 맞는 메뉴, 공간, 서비스, 마케팅 전략을 개발해야 합니다. 타겟 고객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브랜드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효율적인 마케팅 자원 배분을 가능하게 하며, 궁극적으로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이는 핵심 요소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