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소개

[사모펀드(PE) 해외 인프라 투자팀이 하는 일] 사모펀드 해외 인프라 투자설명서 작성법

프라임 커리어 2025. 4. 7. 19:17

사모펀드(PE) 해외 인프라 투자팀의 업무를 하다 보면, "사모펀드 해외 인프라 투자설명서 작성법에는 뭐가 있을까?", "조금 더 효율적이고 잘할 수는 없을까?"와 같은 질문이 떠오르곤 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실무에서의 중요한 포인트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IMM Investment에서 일하신 분께 여쭤 본 부분들을 바탕으로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그럼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1) 인프라 투자설명서의 이해

 

인프라 투자는 안정적인 현금흐름과 장기 계약을 통한 예측 가능한 수익으로 사모펀드(PEF)에게 매력적인 투자처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특히 해외 인프라 투자에서는 체계적인 투자설명서(Private Placement Memorandum) 작성이 성공의 핵심 요소입니다. 해외의 경우, 사모 투자자를 모집할 때 사모 투자설명서, PEF 지분을 인수하면서 작성하는 인수계약(Subscription agreement), 펀드가 투자운영 회사와 체결하는 투자운용 계약(Investment)이 함께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성공적인 해외 인프라 투자설명서 작성의 핵심 요소와 실제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2) 인프라 투자설명서의 핵심 구성요소

 

효과적인 인프라 투자설명서는 다음과 같은 핵심 요소를 포함해야 합니다:

▸ 투자 프로젝트의 명확한 비즈니스 모델 및 수익 구조
▸ 인프라 자산의 안정적 현금흐름 및 장기 계약 상세 설명
▸ 규제 및 정치적 위험 분석과 대응 전략
▸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고려사항 및 지속가능성 전략
▸ 운영 위험 및 자본 집약적 특성에 대한 명확한 설명
▸ 시장 및 경제적 위험에 대한 민감도 분석
▸ 출자 방식 및 자본 콜(Capital Call) 구조 상세화
▸ GP(General Partner) 및 LP(Limited Partner) 간 권리 의무 관계 명시

이러한 요소들은 투자자들에게 인프라 프로젝트의 리스크와 기회를 균형 있게 전달하는 데 중요합니다.

3) 글로벌 사례 1: 블랙록의 GIP 인수와 투자설명서 전략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은 2024년 초 인프라 특화 사모펀드인 글로벌 인프라스트럭쳐 파트너스(GIP)를 약 16조 4000억원에 인수했습니다. 이 인수는 블랙록의 인프라 투자 플랫폼 확장 전략의 핵심이었습니다. GIP의 투자설명서 전략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명확한 분야 특화: 에너지, 운송, 폐기물, 디지털 인프라 등 특정 분야에 집중
▸ 글로벌 포트폴리오 투명성: 아부다비 국영 석유사 ADNOC, 아틀라스신재생에너지, 호주 철도화물 사업체 등 다양한 투자 대상 명시
▸ 장기적 성장 서사 구축: "인프라는 1조 달러 규모로 향후 수년간 사모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라는 명확한 투자 논리 제시
▸ 메가트렌드 연계: 
... 더보기

 

4) 글로벌 사례 2: 맥쿼리그룹의 볼트온 전략과 문서화 접근법

 

호주의 맥쿼리그룹은 글로벌 인프라 자산 관리의 선두주자로, 그들의 투자설명서는 'Blind fund' 방식과 볼트온(Bolt-on) 전략을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맥쿼리아시아인프라펀드(MAIF)의 접근법 특징:

▸ 단계적 자본 투입 전략: 초기에 모든 자금을 출자하는 대신 Capital Call 방식을 통해 필요시 자금 조달
▸ 플랫폼 기업 투자 논리 명확화: 소규모 기업들을 통합해 규모의 경제 달성 전략 상세화
▸ 지역 특화 접근법: 아시아 지역 인프라 특성에 맞춘 투자 전략 및 리스크 관리 방안 제시
▸ 과거 성공 사례 활용: 맥쿼리의 투자설명서는 2013년 폐기물 관리 및 폐자원 에너지화 사업 성공 사례 등 실적을 적극 활용

특히 맥쿼리는 2001년 설립한 Global Infrastructure Fund를 통해 ... 더보기

5) 글로벌 사례 3: CVC캐피탈의 인프라 특화 투자 문서 프레임워크

 

글로벌 사모펀드 운용사인 CVC캐피탈파트너스는 2023년 네덜란드 기반 인프라 전문 운용사 DIF캐피탈파트너스 지분을 약 1조4000억원에 인수했습니다. CVC의 투자설명서 접근법:

▸ 기존 포트폴리오와의 시너지 명확화: CVC는 투자설명서에서 기존 투자전략과 인프라 섹터의 인접성을 강조
▸ 세분화된 지역 및 섹터 분석: 유럽, 북미, 호주 미드마켓 인프라의 특성과 투자 기회 세분화
▸ 장기적 성장 추세 데이터 활용: 섹터별 성장률과 미래 전망 데이터를 풍부하게 제공
▸ 투자자 이익 보호 메커니즘 상세화: ... 더보기

6) 국내 사례 1: 써미트 에너지 얼라이언스(SEA)의 태양광 플랫폼 투자 프레임워크

 

맥쿼리아시아인프라펀드(MAIF) 3호는 한국 태양광개발 사업자 투자 플랫폼인 '써미트 에너지 얼라이언스(SEA)'를 신설하고 투자 확장을 추진했습니다. SEA의 투자설명서 특징:

▸ 시장 분석 세분화: 한국 태양광 시장이 소규모로 분산된 특성을 분석하고 통합의 가치 강조
▸ 파트너십 구조 명확화: 각 태양광 파트너 개발사의 대주주가 되고, 투자된 회사의 경영진이 주주로 참여하는 구조 상세화
▸ 전문경영진 영입 계획: 방희석 한강에셋자산운용 대표 영입 등 핵심 인력 확보 전략 제시
▸ 우량 사업자 발굴 프로세스: ... 더보기

7) 국내 사례 2: 정부 주도 공공-민간 파트너십(PPP) 인프라 투자 문서화

 

한국 정부는 2030년까지 100억 달러 규모의 해외 투자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부 주도 PPP 투자설명서의 특징:

▸ 정부 지원 및 보증 메커니즘 상세화: 공공기관의 인프라 투자 실적과 낮은 금리 대출 능력 강조
▸ 명확한 비즈니스 모델: Design-Build-Finance-Operate 조달 모델의 구체적 운영 방식 설명
▸ 리스크 및 수익 배분 구조: 단순 계약자가 아닌 지분 보유 운영자로서의 역할과 잠재적 위험-수익 구조 명시
▸ 국가간 협력 체계: ... 더보기

8) 인프라 투자설명서의 리스크 평가 및 문서화 모범 사례

 

성공적인 인프라 투자설명서는 투명한 리스크 평가와 그에 대한 대응책을 포함해야 합니다:

▸ 규제 및 정치적 리스크: 국가별 규제 환경 변화 가능성과 대응 전략 구체화
▸ 자본 집약성 및 긴 회수 기간: 유동성 위험과 자본 회수 계획 명확화
▸ 운영 리스크: 건설 지연, 비용 초과, 유지보수 이슈에 대한 관리 방안 제시
▸ 시장 및 경제적 리스크: 경기 침체가 인프라 사용량과 수익에 미치는 영향 분석
▸ ESG 관련 리스크: ... 더보기

9) 결론: 성공적인 인프라 투자설명서 작성의 핵심 요소

 

성공적인 해외 인프라 투자설명서 작성의 핵심은 투명성, 구체성, 그리고 균형 잡힌 정보 제공에 있습니다:

▸ 명확한 투자 논리와 차별화 요소 제시: 왜 이 인프라 프로젝트가 투자 가치가 있는지 명확히 설명
▸ 리스크와 기회의 균형 잡힌 제시: 낙관적 전망 뒤에 숨은 위험 요소도 투명하게 공개
▸ 구체적 사례와 데이터 활용: 추상적 서술보다는 구체적 데이터와 사례로 신뢰성 제고
▸ 투자자 권리 보호 장치 명시: LP 보호를 위한 지배구조, 감사 메커니즘, GP 해임 조건 등 명확화
▸ 장기적 가치 창출 메커니즘 설명: 단기 수익보다 장기적 가치 창출 전략 강조

글로벌 인프라 투자 시장은 1조 달러 규모를 넘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 인프라, 신재생에너지, 물류 인프라 등의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전문적이고 투명한 투자설명서는 성공적인 자금 모집과 장기적 투자 성과를 달성하는 핵심 도구가 될 것입니다.